무더위가 기승하는 8월의 하루하루가 지나가고 있는데요. 날씨는 여전히 덥지만 시원한 소식인 입추가 다가왔습니다. 대서를 마지막으로 여름 절기가 끝나고, 드디어 가을 절기가 찾아온 건데요. 입추의 뜻과 풍습 관련 속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입추의 뜻은?
'대서'와 '처서' 사이에 드는 입추는 24절기 가운데 13번째 절기에 해당됩니다. 음력으로는 7월에 드는 절기예요. 설 '입(立)'에 가을 추(秋)'. 입추의 뜻을 풀이하자면 '가을에 들어선다', 또는 '가을의 시작'이라고 풀이할 수 있는데요. 대서와 처서 사이에 드는 입추는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의미를 가진 절기입니다. 실제 절기상으로는 이날부터 입동 전까지를 가을로 봅니다.
2. 가을보다 여름에 가까운 입추
과거에는 입추를 3후로 나누어 그 날씨의 변화를 관측했습니다. "초후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고, 차후에는 흰 이슬이 내리며, 말후에는 쓰르라미가 운다"라는 말로 입추가 지난 후의 계절의 변화를 묘사하였습니다.
하지만 8월 초에 위치한 입추 무렵의 날씨는 가을이라기 보다 한여름에 더 가깝습니다. 이는 매년 더위가 길어지는 오늘날 뿐만 아니라 과거에도 마찬가지였는데요. 고려사에 다르면 "입하부터 입추까지 백성들이 조정에 얼음을 진상하면 이를 대궐에서 쓰고, 조정 대신들에게도 나눠주었다", "입추에는 관리에게 하루 휴가를 준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 대목에서 입추까지는 날씨가 무척 더웠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3. 입추의 풍습
농가에서 이날 날씨를 보고 한해 농사의 풍흉을 점쳐보기도 했습니다.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만곡에 풍년이 든다고 믿었고요. 이날 비가 조금만 내리면 길하지만 비가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하기 때문에 좋지 않은 징조로 여겼습니다. 또한 천둥이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 해 봄에 소와 염소가 죽는다고 생각했어요.
보통 입추는 벼가 한창 익어가는 때여서 맑은 날씨가 계속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때때로 달갑지 않은 비가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만약 입추가 지나고 비가 닷새 이상 계속되면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는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를 올렸습니다.
4. 입추와 관련된 속담
- 어정 7월, 건들 8월
입추 무렵이면 김매기가 끝나고 농촌이 매우 한가해지는데 이것을 두고 "어정 7월, 건들 8월"이라는 속담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어정거리다 7월을 보내고 다시 건들거리다 보면 8월도 지난다'라는 뜻인데요. 5월이 모내기와 보리 수확으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때임을 말하는 "발등에 오줌 싼다"라는 표현과 매우 대조적인 속담으로, 입추 무렵 해야 할 일이 많지 않고, 시간적으로 여유를 가질 수 있는 때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 입추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
뜨거운 태양볕 아래 곡식이 여물 어가는 입추! 장마가 끝나고 입추 무렵이 되면 날씨가 좋고 일조 시수가 많아 벼가 자라는 것이 눈에 보일 정도로 빠른 생장 속도를 자랑하는데요. 귀가 밝은 개는 벼가 자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 정도라는 과장된 말이 생기기도 했다네요.
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속담으로 "입추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이와 비슷한 뜻의 속담으로는 "말복 나락 크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는 표현이 있어요. 입추와 말복은 대개 비슷한 시기에 돌아오기 때문에 비슷한 표현이 존재합니다.
◎ 참고하면 좋은 글
법인택시기사 5차 재난지원금 1인달 80만원 지급
5차 재난지원금에 포함된 택시기사 생활안정지원 사업에 대한 내용이 나왔는데요. 정부는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한 택시법인 소속 운전기사 8만 명에게 1인당 80만 원의 소득안정자금을 8월 말
yory.subystory.com
이상으로 입추의 뜻과 풍습 속담까지 알아봤는데요. 이번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되셨길 바라며, 즐거울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