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급격한 일교차가 발생하는 가을 추위에 감기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침을 삼킬 때 목이 따끔따금하고 콧물이 나오다가 급기야 열이 오르는 감기 증상이 있는데요. 이와 비슷한게 편도선염도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감기 증상과 구별하지 못해 제대로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도 생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목감기와 편도선염의 차이점과 편도선염 증상 및 치료법, 그리고 편도선염에 좋은 음식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도선염

    편도는 목 안쪽에서 코 뒷부분에 위치해 있는 기관으로 평상시에는 입과 코를 통해 몸속으로 들어오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막는 항체를 만들어 우리의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곳에 폐렴균, 연쇄상구균, 포도상 구균 등의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어 염증이 생기는 것을 편도선염이라고 합니다.

    편도선염과 목감기 차이점

    목감기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목이 칼칼하고, 가래가 많이 끼거나, 마른 기침이 나오는 증상을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편도선염인 경우에는 목 안에도 통증이 나타나거나 뜨겁게 열이 나는 듯한 증상이 동반하게 됩니다.

     

     

    편도선염의 원인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편도선은 미취학 어린이들에게서 잘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급성 편도염은 청년기 또는 젊은 성인에게서 많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성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급성 편도염의 경우 주로 피로, 저온이나 고온에 갑자기 노출되는 경우, 상기도 감염, 대사성질환 및 면역 질환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편도선염의 증상

    편도선염에 걸리면 대부분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추가로 주변 인후 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할 경우 인후염이 동반할 경우 인후통도 발생하게 됩니다.

     

     

    침을 삼키거나 음식물을 넘길 때 목이 따끔거리는 통증은 목감기일 때보다 심하게 나타나는데요. 염증으로 인해 39~40도에 달하는 고열과 두통, 팔다리 전신에 걸쳐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목 옆에 작은 멍울이 만져지기도 하는데, 해당 부위를 누르면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귀를 찌르는 것 같은 연관통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또한 혀의 표면이나 구강 내에 두껍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나타나는 증상, 두통, 전신 쇠약감, 관절통 등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이 동반되는 것 역시 편도선염의 증상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 치료법

    급성 편도선염은 대개 점차적으로 자연스레 좋아지며, 이에 따라 증상도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세균성 급성 편도염의 경우 적절하게 항생제를 투약하면 48~72시간 이내에 치료 반응을 보이고, 4~5일 이내에 증상이 나아지게 되는데요. 따라서 편도선염 초기에는 처방받은 항생제와 소염진통제를 먹고 충분히 쉬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금방 호전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1년에 4~5차례 정도로 수차례 편도선염이 생기는 경우에는 약을 먹어도 효과를 보기 어려워질 수 있어요. 이 같은 만성 편도선염을 앓고 있다면 치료를 위해 편도선절제술까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정확한 진찰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편도선염에 좋은 음식

    편도선염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려면 먼저 물을 충분히 마시는게 중요한데요. 편도 점막이 건조해지면 먼지 속 바이러스나 세균을 걸러내지 못해 증상이 심해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편도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틈틈이 수분을 보충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도라지, 더덕, 배 등 기관지 건강에 좋은 음식을 챙겨 먹는 것도 도움이 되는데요. 도라지는 우리 몸의 면역력을 높이는 사포닌 성분이 풍부해 편도를 비롯한 기관지에 생기는 염증을 예방해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목 점막의 통증을 진정시키는 효과도 좋은데요. 사포닌과 이눌린 성분이 풍부한 더덕은 기관지의 점액 분비를 활성화해 가래를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해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해열 소염 작용도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꿀과 함께 재어 먹으면 더욱 좋은 배는 만성 기침과 가래를 해소하고 몸의 열을 내려줍니다. 다만 더덕과 배는 성질이 차가워서 많이 먹으면 속이 쓰릴 수 있으니 적당량을 섭취하시길 바랍니다.

    이것으로 편도선염의 증상, 치료법, 예방법, 좋은 음식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항상 건강하세요.

     

    함께 하면 좋은 글▼

     

    고혈압약 고지혈증약과 함께 먹으면 안 되는 음식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30%가 이러한 혈압이 높아진 증상인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건강진단을 받아보면 가장 흔히 나타나는 질병이 '고지혈증'이라고 하는데요. 그만큼 현대인들에

    yory.subystory.com

     

    대상포진 초기증상과 예방접종 효과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하는 '대상포진'은 환절기에 주의해야하는 질병 중 하나인데요. 대상포진은 흔히 말하는 계절성 질환은 아니지만 낮과 밤의 일교차가 커지는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체

    yory.subystory.com

     

    이재명 조폭 연루 주장한 박철민은 누구인가

    지난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이재명 지사의 조폭 연루 의혹 편지를 공개한 박철민(나이 31세)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박철민씨는 SBS '그것이 알고싶다' 국제마피아편에 협조한 취재

    yory.subystory.com

     

    728x9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