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글날 하면 '나의 사랑 한글날'이라는 타자연습을 참 많이 쳤던 기억이 나는데요. 2006년부터 5대 국경일로 지정된 한글날은 공휴일인데요. 그렇다면 사랑하는 한글날! 왜 10월 9일로 지정되었는지? 언제부터 한글날이 시작되었는지? 한글날의 유래와 역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광화문-세종대왕

한글날의 역사

한글의 창제와 반포

훈민정음이 세상에 반포된 시기는 1446년 세종 28년인데요. 한글날을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당연히 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을 알아봐야겠죠. 훈민정음의 뜻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인데요. 1443(세종 25) 세종대왕이 집현전의 학자들과 함께 창제한 28개의 글자를 훈민정음이라 말합니다. 그리고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의 기반이 된 문자가 바로 훈민정음입니다.

 

 

세종대왕은 우리의 문자가 없어 남의 글자인 한문을 빌려다가 사용했던 불편함을 씻어내고자 누구나 쉽게 배우고, 글을 쓰며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글을 만들셨는데요. 이와 같은 한글 창제의 배경은 나라말씀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으니로 시작되는 '훈민정음 예의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

한글날의 시초 : 가갸날

그렇다면 한글날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한글날의 시초가 것이 '가갸날'인데요. 가갸날은 조선어연구회가 훈민정음 반포 8회갑(480년)이 되는 해인 1926년 처음으로 기념했다고 합니다. 당시 우리나라는 1910년 체결된 한일합병병합 조약에 따라 통치권을 빼앗기고 일본의 탄압을 받고 있던 시기인데요. 물론 우리의 말과 글도 탄압의 대상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이후 일본은 조선교육령을 공포해 조선인 학교의 교육연한을 단축하고 우리말의 모국어 지위를 박탈해 공식적으로 학생들은 일본어로 수업을 듣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위기의식을 느낀 국어학자들은 1921123일 조선어연구회를 발족하였는데요. 조선어연구회는 1908년 주시경, 김정진이 창립한 국어연구학회의 후신인 단체로 오늘날 한글학회로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조선어연구회는 갖은 핍박과 어려움 속에서도 한글 보급 강습, 문맹퇴치운동 등 우리의 말과 글을 지켜내기 위한 여러 노력을 펼쳤는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가갸날의 제정입니다. 당시는 아직 한글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지 않았고, 한글을 가장 처음 배울 때 '가갸거겨'라고 하는 데서 유래해 '가갸날'이라고 정했다고 합니다. 가갸날은 2년 뒤인 1928년부터 명칭을 한글날로 변경됐습니다.

 

한글날이 10월 9일인 이유

그럼 10월 9일이 한글날이 된 배경에는 어떤 이야기가 숨어있을까요? 바로 훈민정음 해례본과 관련이 있는데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조선어연구회는 1926년에는 음력 9월 29일을 최초의 한글날 '가갸날'로 정했는데요. 이후 양력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한글날에도 변화가 생깁니다. 음력 기준의 기념일을 양력으로 환산하면서 1931년에는 양력 1029일로 한글날이 변경됐고요. 1934년에는 양력 928일로 날짜가 바뀌게 된건데요.

하지만 1940년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해례본이 발견되면서 오늘날의 한글날이 정해졌는데요. 훈민정음 해례본에 "11년(1446년) 9월 상한(상순)"에 훈민정음을 반포했다는 기록에 따라 상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기념일로 정정하게 된 것입니다. 이를 양력으로 바꾸면 10월 9일이 되는데, 이에 따라 오늘날까지 양력 10월 9일을 한글날로 여겨 오고 있습니다.

 

 

한글날은 공휴일

1945년 광복 이후 한글날은 전국적인 행사로 진행되는데요. 광복 다음 해인 1946년에는 한글날을 법정공휴일로 지정하여 거국적인 기념행사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1970년에는 대통령령으로 공포된 '관공서의 휴일에 관한 규정'에 의해 공식 공휴일로 지정되기도 했는데요. 

지난 1990년에는 휴일이 많은 것이 산업 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경제 단체의 문제 제기로 인해 법정공휴일 축소 문제가 논의되었고, 그 해 한글날과 국군의 날이 법정공휴일에서 제외되어 단순한 기념일이 된 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글 관련 단체의 꾸준한 한글날 국경일 제정 운동의 결과로 지난 2006년부터 다시 한글날이 국경일로 정해져 공휴일로 지정됐습니다.

 

 

◎ 참고하면 좋은 글

10월 제철 생선과 해산물 3가지

 

10월 제철 생선과 해산물 3가지

추분을 지나면서 본격적인 가을이 찾아오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10월에 먹으면 맛도 좋고 영양도 좋은 10월 제철 생선과 해산물 3가지를 준비해봤는데요. 10월에 오동통통 '대하', 국민 횟감 '광

yory.subystory.com

SLBM 세계 7번째 보유국 한국

 

SLBM 세계 7번째 보유국 한국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7번째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SLBM을 보유하게 되었는데요. 이전까지 SLBM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트라이던트II), 러시아(불라바, 시네바), 중국(JL2), 영국(트라이던트II)

yory.subystory.com

 

이상으로 한글날의 유래와 역사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되셨길 바라며, 즐거울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728x9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